금감원에서 무료 재무상담을 받고 광명 찾으세요! 💰😇
이 글을 보시는 평범한 사람들은 대부분 전문가에게 재무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별로 없을 겁니다. 쥐고 있는 돈이 얼마 없으니 상담을 받아봤자라고 생각하곤 하죠.
하지만 사람이 살다 보면 빚이 생길 수도 있고 집을 사기 위해 투자를 하거나 대출 계획을 세워야 할 때가 있습니다. 노후 대비를 위해 설계를 하는 경우도 있고 사회 초년생이 학자금 대출을 상환하면서 어떻게 돈을 모으는지에 대해서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참고하는 것도 좋지만 이 분야의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는 것만큼 효과가 있지는 않을 겁니다.
◎ 금융자문 서비스란?
금융감독원이 제공하는 '금융자문 서비스'는 서민들의 안정적 금융생활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전문가가 무료로 제공하는 1 대 1 맞춤형 서비스입니다. 특히 빚을 지고 있는 서민의 부채관리, 소득과 지출 관리, 은퇴/노후준비 등 재무상담을 직접 금융전문가가 해주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상담 내용은 '제1부 주제별 상담', '제2부 생애 주요 이벤트별 상담'으로 나뉘게 되는데 아래의 표를 참하시면 됩니다.
<제1부 주제별 상담>
주제 | 주요 내용 |
현금흐름 및 지출 관리 | - 소비성 지출 및 금융 지출 등 지출 관리 - 불규칙한 소득관리, 가계 재무목표 설정 등 |
저축과 투자 | - 재무목표에 적합한 금융상품 선택 기준 |
부채관리 | - 대출받기 전 유의사항 및 대출 시 검토사항 - 부채 상환 계획 세우기 |
위험관리 | - 보험 가입 및 유지 방법 - 보험 보장 내용 점검 및 적정 보험료 확인 |
노후 소득원 | -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 가입 및 수령방법 - 주택연금 가입요건과 특징 등 |
생활세금 | - 금융상품 관련 세금 - 소득공제 항목 등 |
금융 서비스 피해 예방과 보호 | - 신용 관리 방법 - 금융상품 불완전 판매, 금융 사기 예방법 등 |
<제2부 생애 주요 이벤트별 상담>
생애 주요 이벤트 | 주요 내용 |
사회 초년생 | - 사회 초년생의 돈 관리 원칙, 학자금 대출 상환 - 재무목표에 적합한 금융상품 선택의 기준 등 |
신혼부부 및 맞벌이 | - 신혼부부 재무진단 시 주요 체크포인트 - 맞벌이부부의 급여관리 및 재무목표 세우기 등 |
은퇴 | - 은퇴 전 준비 사항 검토 및 실행 방안 - 은퇴 후 재무적, 비재무적 사항 점검 및 보완 등 |
자녀 출산과 교육 | - 출산 후 생활비 관리 - 자녀 양육비 및 사교육비 관리 등 |
주거 | - 주택 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 방법 및 적정성 여부 - 부채 상환 계획 세우기 등 |
직업 이전 | - 소득 공백기 가계 지출 관리 등 |
의료비와 장기 간병 | - 가입한 보험 보장 내용 점검 - 추가 보험 가입 시 유의 사항 등 |
자산 이전(상속과 증여) | - 재무목표에 적합한 증여 및 상속 선택 기준 |
◎ 상담 신청 방법
상담 방식은 대면 상담, 전화 상담, 온라인 상담 3가지가 있습니다.
대면 상담 : 금융감독원 본원 1층 금융민원센터 내 상담부스 (금융자문 서비스 사이트에서 예약 후 방문)
전화 상담 : 금융감독원 콜센터, 국번 없이 1332 (7번 금융자문 서비스)
온라인상담 : 금융자문 서비스 사이트에서 온라인 상담 신청
상담 업무시간 : 평일 09:00 - 17:00
상담원 : 금융전문가(국제공인재무설계사) 자격을 갖춘 상담 전문역
아래는 부채관리에 대한 재무상담을 받은 사례입니다. 참고하셔서 상담받으실 때 궁금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Q : 분양받은 아파트에 대하여 현재는 중도금 무이자 대출을 받고 있는데 2016년 1월 담보대출로 전환되면 월 상환금액이 부담스러워 고민입니다. 대출이자를 내는 것이 아까워서 상환기간을 짧게 하고 싶어 10년 원리금 상환조건으로 하려고 하니 월 170만 원을 부담하게 됩니다. 연금, 자녀교육자금을 위한 저축 등을 해지하고 생활비를 아끼면 빠듯하게 낼 수 있을 것 같은데 한편으로 부담스러워 걱정이 됩니다. 이 상환조건으로 대출을 받아도 괜찮을지 상담을 받고 싶습니다.
A : A씨(30대, 여, 회사원, 맞벌이)는 월 소득을 주택 담보대출 상환, 연금, 저축, 생활비 등에 어떻게 배분할지 고민입니다. 자녀는 2명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자녀 양육비 증가 등 월 지출비용 증가가 예측됨에도 비상예비 자금은 없는 상황입니다.
부채 상환 계획의 첫 번째는 지출 관리이므로 생활비 지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 170만 원의 부채 상환 시 월 소득 대비 부채 상환액 비율이 42.5%에 달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월 지출액과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 등을 감안시 월 소득 대비 부채 상환액 비율이 높으므로 상환기간을 조정하여 월 부채상환액을 감축하도록 안내하였습니다. (원금 중도 상환 등을 활용하여 상환기간을 감축 가능합니다.)
2021.09.10 - [세금재테크정보] - 이자율 채무조정 신청하기 - 프리워크아웃
출처 : 금융감독원 금융자문 서비스 홈페이지
https://m.fss.or.kr:4434/fine/consulting/FineConsultingInfo.do?mId=M13030100000000
'세금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간단 국민지원금 이의신청 방법 (0) | 2021.09.16 |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단히! (feat. 손택스) (0) | 2021.09.16 |
자동차세 연납하면 9.15% 세액공제 혜택 (0) | 2021.09.13 |
이자율 채무조정 신청하기 - 프리워크아웃 (0) | 2021.09.10 |
네이버 현대카드 뽐뿌 오네! 💰💳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1.08.30 |
댓글